추가분담금이 재건축·재개발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추가분담금이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해선 안된다


재건축 재개발 이 두가지

도시 정비사업을 이야기할 때 

가장 중요한 단어가 있다. 

바로 추가분담금이다. 

사람들은 늘 “이 사업이 얼마나 오를까”만 말하지만, 

실제로 재건축·재개발의 성패는 

‘얼마를 벌까’가 아니라 

‘얼마를 더 내야 하느냐’**에서 갈린다. 

사업성이라는 건 결국 조합원이 느끼는 

체감 부담의 크기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추가분담금은 단순히 ‘돈을 더 낸다’는 개념이 아니다. 

이 금액은 그 사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진행되느냐, 

그리고 새로 지을 아파트의 가치가 얼마나 높게 평가되느냐를 

그대로 반영하는 지표다. 

조합원 입장에서는 이 금액 하나만 봐도 

사업의 방향성과 위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추가분담금이 커지는 

구조를 보면 이해가 빠르다. 

재건축이든 재개발이든 기본 공식은 같다.


총사업비 – 일반분양 수익 = 조합원 부담금

일반분양가가 낮게 책정되거나, 

총사업비가 올라가면 

결국 그 차액이 바로 조합원의 몫이 된다. 

건설 원가 상승, 인허가 지연, 금리 비용 증가, 설계 변경… 

이런 요소 하나하나가 쌓여 추가분담금을 만든다. 

단순히 ‘돈 더 내라’가 아니라, 

이 지역의 이해관계·정책환경·시장경쟁력이 

모두 얽힌 결과물이다.


재개발의 경우, 기반시설까지 손대기 때문에 

사업비가 자연스럽게 많이 들어가고, 

예상치 못한 지하 구조물·도로 확장·상가 보상 같은 변수가 

사업 도중 많아 추가분담금 변동폭이 크다. 

그래서 재개발은 결국 “일반분양이 얼마나 잘 팔릴까”가 핵심이 된다. 

분양가가 높고 청약이 잘 되면 

조합원 부담이 줄어들고, 

반대로 미분양이 나거나 

분양가를 낮춰야 하면 사업성이 급격히 떨어진다.


재건축은 다르다. 

기반시설을 교체하지 않기 때문에 

사업비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예측 가능하다. 

하지만 재건축은 

‘안전진단–초과이익환수제–용적률’이라는 

제한 조건이 있어서, 

이 셋 사이의 균형이 무너지면 

추가분담금이 폭발한다. 

특히 초과이익환수제는 

예상보다 적게 잡히면 

조합원이 부담해야 할 비용이 그대로 늘어난다.


결국 시장은 이걸 알고 있어서, 

추가분담금 규모가 낮게 예상되는 

단지는 초기부터 프리미엄이 붙는다. 

반대로 ‘추가분담금 폭탄’이 언급되는 구역은 

가격이 정체되거나 조합 내부 갈등이 생기기 쉽다. 

조합원이 심리적으로 불안해지면 

사업 속도가 느려지고, 

속도가 느려지면 금융비용이 상승하며, 

그게 다시 추가분담금으로 되돌아온다. 

사업성은 숫자가 아니라 구조다.


결론은 단순하다.

추가분담금이 낮을수록 사업성은 높다.

추가분담금이 불확실할수록 리스크는 커진다.


정비사업을 분석할 때 이 하나만 

명확히 이해해도 판단의 70%는 이미 끝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등기부등본을 안 보는 건 방패 없이 싸우러 가는 것과 같다

전세 계약에서 반드시 피해야 하는 핵심요소